본문 바로가기

Java19

Spring boot 로 Toy Project (TodoList) 개발환경 구축 🔧 기본 환경 - Gradle 로 Package 관리 - FE : Apache (8888) - BE : Spring Boot (8989) 1. 프로젝트 생성 Spring Boot > Spring Starter Project 로 시작하기 * dependencies 추가 - Spring Boot DevTools 로 개발에 편리한 기능 - Lombok : annotation으로 코드 간소화 - Mybatis Framework : DB 프레임워크 - MySQL Driver - Spring Web 2. 테스트 API 작성 Controller @Slf4j @RestController ... public class TodoController{ @GetMapping public List getTodoList(){ } .. 2021. 8. 12.
[Spring] selectKey selectKey가 사용되는 경우 1. AUTO_INCREMENT가 적용되지 않은 테이블에 id 계산해서 넣고 싶은 경우 2. AUTO_INCREMENT가 적용된 테이블에 삽입된 데이터의 id를 바로 조회하여 바로 다른 테이블에 삽입하고 싶은 경우 selectKey 엘리먼트 속성 keyProperty : selectKey 구문의 결과가 셋팅될 대상 프로퍼티 keyColumn : 리턴되는 결과셋의 컬럼명은 프로퍼티 resultType : 결과의 타입. order : BEFORE, AFTER를 셋팅할 수 있음. Before 설정시 키 먼저 조회, 그값을 keyProperty에 셋팅 후 insert 구문 실행 / After로 설정시 insert 구문을 실행한뒤 selectKey 구문 실행 statementTy.. 2021. 7. 1.
[Spring] 자바빈 Javabean 자바빈(JavaBean) : jsp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자바 코드로 작성된 class, 주로 데이터 전달을 위해 사용됨 JSP 페이지의 디자인부분과 로직 부분을 나눔으로써 복잡한 자바 코드를 줄이고 프로그램 재사용성 증가 DTO나 VO 와 비슷한 역할 JavaBean 설계 규약 - 멤버변수마다 별도의 get/set 메소드가 존재( 외부접근은 getter, setter로 접근 ) - get 메소드는 매개변수가 존재X - set 메소드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가 존재O - 클래스는 패키지화 되어야함 - 멤버변수는 property라고 부름 - 접근제한자 : private - 프로퍼티가 boolean이면 get이 아니라 is 사용해도됨 은 비주얼 툴에서 조작 가능한 컴포넌트였는데 요즘은 다음 두 가지.. 2021. 6. 29.
[Spring] REST API REST 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 : 하나의 URI는 하나의 고유한 리소스(Resource)를 대표하도록 설계된다. 디바이스 종류에 상관없이 공통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(ex) 게시판 구현 - 기존 방식 : 컨트롤러에서 서비스 호출 -> 필요한 결과를 화면(View)로 전달 -> Html로 리턴 사용자가 어떠한 요청을 했을때 화면(Html)을 리턴X ->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결과(데이터)만을 리턴해주는 방식 참고) https://congsong.tistory.com/28 스프링 부트(Spring Boot ) - REST API 알아보기 [개발을 시작해봐요!] 이전의 두 글에서는 게시판에 페이징(검색) 기능을 적용해 보았습니다 이번 글부터는 게시판에 .. 2021. 6. 29.